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슬기로운 지속가능성 생활 3. NO 플라스틱! 대체재 7가지를 소개해요.

by 난홍이 2025. 5. 5.

 

안녕하세요 난홍이입니다. 

하루에도 몇 번씩 우리는 플라스틱을 만지고, 사용하고, 버립니다.

배달 음식 용기, 커피 컵 뚜껑, 마트 봉투까지..

너무 익숙해서 불편함도 못 느끼던 것들이 어느새 지구를 병들게 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지속가능성 생활, 그 세번째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우리는 플라스틱 없이 살 수 있을까요? 응, 너무 불편하겠지만, ' 살 수는 있을거야. 그런데 어떻게?' 

만약, 플라스틱을 계속 사용해야만 한다면 플락스틱을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정말 다행스럽게도, 플라스틱을 대신할 수 있는 재료들이 점점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고, 우리 손에 닿기 시작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환경을 생각하는 대체 소재들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1. 플라스틱을 안 쓰는 세상, 정말 가능한 걸까?

 

플라스틱은 20세기 최고의 발명품 중 하나로 불렸지만, 이제는 ‘21세기 최대의 환경재앙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전 세계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에 나선 지금,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소재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옥수수로 만든 비닐봉지? ‘바이오플라스틱’이란

가장 대표적인 플라스틱 대체 소재는 바로 바이오플라스틱입니다. 
옥수수, 사탕수수 등 식물성 원료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만든 플라스틱으로, 일반 플라스틱처럼 생겼지만 일정 조건에서 분해가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만, 문제는 모든 바이오플라스틱이 자연 상태에서 쉽게 분해되는 건 아니라는 점입니다.

대부분은 산업용 고온 퇴비 시설이 있어야 분해돼요. 소비자들이 단순히 "친환경"이라는 이유로 쓰고 나서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기존 플라스틱과 다를 바 없게 됩니다

 

  • 종이, 유리, 금속… '다시 돌아온 재료들'

플라스틱이 보편화되기 전까지, 사람들은 종이, 유리, 금속을 일상용품에 사용해 왔어요

  • 종이 빨대·종이 포장재: 카페나 식음료 브랜드에서 가장 먼저 시도한 변화
  • 유리병 리필: 화장품 업계에서는 유리병에 리필 스테이션을 설치해, 내용물만 다시 채우는 방식도 확산 중.
  • 금속 식기/텀블러: 내구성 있는 다회용 제품으로 소비자 인식 변화 

이런 변화는 소비자의 선택과 인식 전환이 있어야만 그 의미가 있어요. 일회용이 아닌 제품을 선택하고, 번거로움이 있어도 다회용을 사용하는 태도가 함께 따라야 하기 때문이죠.

 

  • 신소재 도전도 ~ing

국내외에서는 플라스틱 대체를 위한 다양한 신소재 개발이 활발해요.

  • 해조류 기반 포장재: 바다에서 나는 해조류 성분으로 만든 필름 포장재. 자연 분해가 빠르고 해양 오염이 적어요.
  • 버섯으로 만든 가죽: 패션 업계에서는 플라스틱 합성 가죽 대신, 균사체(버섯 뿌리 구조)로 만든 비건 가죽 소재 개발 중 
  • 우유 단백질 기반 플라스틱: 미국과 유럽 일부에서는 카제인(우유 단백질)을 활용한 생분해성 포장재 연구가 진행 중

문제는 가격과 생산 효율성이 아직은 기존 플라스틱보다 비싸고, 대량 생산 체계가 부족해요. 그러나 기업과 정부가 투자와 정책 지원을 확대하면서 점차 현실화 될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어요. 

 


   2.  플라스틱 대체 소재 비교표

                                                   

                   소재명                                   특징                                   장점                      단점                         활용 분야

바이오플라스틱
(Bioplastics)
식물성 원료(옥수수 전분, 사탕수수 등)로 제조 생분해성, 탄소배출 감소 특정 조건에서만 분해, 비용 문제 일회용 식기, 포장재, 필름 등
종이 및 종이 합성재 목재 펄프 등으로 제조 재활용 가능, 생분해성 내수성 부족, 내구성 문제 포장재, 용기, 빨대 등
버섯 균사체 (Mycelium) 버섯의 균사체로 제조 생분해성, 단열성, 경량성 대량 생산 어려움 포장재, 건축 자재 등
조개껍질, 게껍질 기반 소재 (키틴, 키토산) 해양 생물의 껍질에서 추출 항균성, 생분해성 생산량 제한, 비용 문제 의료용 필름, 포장재 등
전분 기반 재료 감자, 옥수수 등에서 추출한 전분으로 제조 생분해성, 재생 가능 수분에 약함, 내구성 부족 포장재, 일회용 용기 등
천연 섬유 (대나무, 코코넛, 리넨 등) 식물성 섬유로 제조 생분해성, 재생 가능 가공성 문제, 비용 문제 식기, 칫솔, 가정용품 등
셀룰로오스 (Cellulose) 식물의 세포벽에서 추출 생분해성, 투명성 가공 복잡성, 비용 문제 포장 필름, 의류 섬유 등

 


3. 우리는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요?

✔ 텀블러 하나로 일회용 컵 줄이기
✔ 천 가방을 가방 속에 항상 챙기기
✔ 장 볼 때 전분 봉투 또는 장바구니 사용하기
✔ 욕실에서는 고체 비누와 샴푸바 사용하기
✔ 친환경 인증 마크가 있는 제품 고르기

 

" 모든 걸 한 번에 바꾸지 않아도 괜찮아요.   중요한 건 ‘조금씩’ 바꿔나가려는 우리의 의지와 실천입니다! "